농심으로 스며드는 봄바람

2017. 2. 15. 18:22일상





농심으로 스며드는 봄바람/오공



내가 사는 곳 제천시 백운면 화당리는 밤엔 기온이 영하10도 이하 내려가고

낮엔 4~5도로 일교차가 심하지만 햇살 속에선 봄기운이 살랑거린다.



농민들 마음으로 봄 오는 소리가 들리는지 들엔 비료와 거름이  쌓여가고 성급한

밭주인이 밭을 갈고 뿌린 역겨운 거름 냄새가 진동하고 얼굴을 찡그리게

하지만 어느새 그 냄새에 길들여져 간다.



사과밭에선 가지치기 작업으로 손놀림이 빨라진 농부들은 사과나무에 거름을

뿌리며 한해 대풍을 기원하지만 농약을 적게 살포해서 명품사과를 

만들어 주십사 부탁을 드리고 싶다.

 


계곡은 아직도 얼음속에서 쉼없이 흐르고  잔설속 이산 저산엔 발가벗은 나무들이

춥고 외롭게 보이지만 스며드는 봄바람에 소리 소문없이 푸릇푸릇한

색으로 변해갈 것이다. 



며칠 전까지 불던 바람이 차갑게 느껴졌으나 대보름이 지난후 부터 부는 바람은

봄 향기를 느낄 정도로  따듯하게 대지를 감싸돌며 싱그러움으로

전해 온다.


 





사과나무 가지치기 하는

농부의 손길이 분주하고








언땅에서도

냉이를 캐는 아낙이 봄이 왔음을 알린다.

봄이 오긴 왔나보다.









소와 돼지 분뇨로 만들어진 거름인데 발효시켜 나왔다고 하지만 냄새가

역겹게 나며 코를 찡그리게 하지만 농촌에 살면 그런대로 참을만 하다.









이곳에도 거름이 차로 운반되어 밭가운데 부어 놓았다.

경운기가 로타리를 치면 거름이 흙과 섞여질 것이고

그 영양분으로 풍년을 예고 할 것이다.








비 맞을라 비닐로 감싼 거름









산속엔 아직도 잔설이 남아 겨울이라고 뽐내고 있지만

아지랑이를 몰고 오는 봄의 향연을 어찌 막을소냐.








유박 거름이다.

여러종류의 종자들을 모아 기름을 짠뒤 나온 부산물로

만든 거름을 말하며 펠릿형으로 만들어졌고

대부분 외국에서 수입한 재료로 만들어진다고 한다.








밭을 갈고  거름을 몇차 받아

봄농사를 준비한 밭주인.


농민들은 아직 동네 경로당에서 놀이문화에 푹 빠져 있지만

봄이 기지개를 펴며 부르는데 어찌 방안에서 세월을 보낼 수 있을까?

머지않아 밭을 갈고 비닐을 씌워 감자등을 심는 소리가 동네에

울려 퍼질 것이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쭉  (0) 2017.05.02
목련꽃이 피는 날  (0) 2017.04.14
용소막 성당을 다녀오다  (0) 2017.02.10
풍기토종인삼시장  (0) 2017.02.07
초승달*화성*금성이 일렬로 보이는 우주쑈  (0) 2017.02.01